지방 쓰는 법 (파일 있음)
곧 추석이 다가 오고 있습니다. 차례를 지내는 집들도 많이 있을텐데요. 차례상을 차리고 차례를 지내기에 앞서 차례상에 놓아야 하는 것이 있죠. 바로 지방입니다. 지방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임시로 만드는 위패를 말합니다. 깨끗한 흰종이에 고인의 이름 등을 적어 사용하며 고인의 위치와 제사지내는 사람과의 관계에 따라서 작성법이 달라지는데요.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으므로 제사나 차례를 지내기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가 끝나면 불에 태웁니다.
지방 쓰는 법
지방은 흰색 한지를 사용하는데요. 깨끗한 흰종이면 됩니다.
지방의 규격은 가로 6cm, 세로 22cm이며 상단 모서리가 조금씩 접히거나 각지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지방의 위쪽을 둥글게 하고 아래를 편평하게 만드는데요. 이는 둥근하늘과 편평한 땅을 의미한다고 하네요.
지방 쓰는 법은
부모님 두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경우
지방에 부모님 두분을 다 적으며 아버지는 왼쪽, 어머니는 오른쪽에 적습니다.
부모님 중에 한분만 돌아가셨을 경우
한분만 가운데에 적습니다.
조상님의 경우
남자 조상님은 왼쪽, 여자 조상님은 오른쪽에 적습니다. 간혹 여자 조상님이 두분이상이라면 남자 조상님의 오른쪽에서부터 이어서 쓰면 됩니다.
지방은 보통 붓을 사용해 세로로 적지만 요즘에는 집에 붓이 많이 없지요.
양식을 출력해서 사용하시거나 한글로 한자 문구를 그대로 써서 하는 경우도 많으니 편한 방법으로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지방 쓰는 법 순서
1.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의 관계
2. 고인의 직위
3.고인의 이름
4.고인의 자리
순서로 적습니다.
예로 고인이 된 아버지가 대상이라면 지방에 현고학생부군신위 顯考學生府君神位 라고 쓰는데 이때 현은 존경의 의미, 고는 고인이 제주의 아버지임을 의미합니다. 고인이 제주의 할아버지라면 현조고 顯祖考, 증조할아버지라면 현증조고 顯曾祖考, 고조할아버지라면 현고조고 顯高祖考 라고 쓰면 됩니다.
만약 어머니가 대상이라면 처음에 현비 顯妣 라고 적으면 되며 비 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할머니는 현조비 顯祖妣, 증조할머니는 현증조비 顯曾祖妣, 고조할머니는 현고조비 顯高祖妣가 됩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에서 학생은 고인의 관직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과거제도가 없는 현대에서는 보통 남성이라면 학생을 적고 조상님중에 관직이 있으셨던 분은 관직이름을 적으면 됩니다. 부군은 제사대상이 제주보다 윗사람일 경우 이름대신 적는 문구이며 만약에 고인이 제주보다 아랫사람이라면 이름을 적는다고 하네요.
끝으로 조상의 자리라는 의미로 신위를 적으면 됩니다.
고인이 여성이라면 남성은 학생을 적지만 여성은 유인 孺人이라 적습니다. 과거 조선시대에 봉작이 있었다면 봉작을 적지만 현대에는 봉작이 없기때문에 여성은 유인 孺人이라 쓰고, 이름을 쓸때는 남자와는 달리 이름대신 본관과 성씨를 적는다고 합니다. 이는 부인이 여러명 있을 경우에 이를 구분하기 위해서 써온 것이 지금까지 이어져온 것이라 하네요.
마지막은 남자와 같이 조상의 자리를 의미하는 신위를 적습니다.
지방 쓰는 법 (남편/처 의 경우)
고인이 남편이라면 현벽학생부군신위 顯壁學生府君神位라고 적으면 남편을 뜻하는 벽자를 넣으면 됩니다.
고인이 아내라면 고실유인+본관성씨+신위 故室孺人본관성씨神位 라고 적으면 됩니다.
위에는 지방 쓰는 방법을 참고하시고 고인이 여성이시라면 본관과 성씨만 바꿔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댓글